2022년 3월 26일 사순 제3주간 토요일
컨텐츠 정보
- 10,944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거듭되는 걱정, 불안, 정신적인 고통을 겪는 분이 있습니다. 오랫동안 계속된 부정적 생각에 스스로에 대해서 늘 불만족스럽습니다. 자신은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무능한 사람이라고 말합니다. 이 사람이 어느 신부님을 찾아갔고, 신부님은 이분의 말을 듣고 “당신은 교만한 사람이에요.”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자신에 대한 걱정과 불안은 누구나 갖는 감정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감정을 잘못된 것으로 여기고 부정하고 있었던 것이지요. 완벽한 감정을 취해야 자신이 올바르다고 생각하는 것, 이것이 바로 교만이라고 신부님께서 말씀하셨던 것입니다.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는 것이 겸손한 삶입니다. 반대로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지 못하면 교만한 삶을 사는 것입니다. 하긴 예수님 앞에 고개를 숙이며 나왔던 이들은 자기 부족함을 모두 인정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종교 지도자들은 부족한 자기 모습을 숨기기에만 급급했습니다. 교만으로 똘똘 뭉친 사람이었습니다.
자기의 부족함으로 자기 존재가 무의미한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주님의 사랑받을 기회입니다. 그러나 겸손하게 인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수님 시대의 세리는 동족에게 세금을 거둬들여서 로마에 건네고 있었기 때문에, 매국노라는 소리를 듣는 공적 죄인이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세리의 가족은 유다인들의 공동체 행사에 참여할 수 없었으며 법정에서 증언할 자격도 없었습니다. 하물며 세리 본인은 어떠했겠습니까? 그래서 성전에 기도하러 갔지만 멀찍이 서서 하늘을 향해 기도했던 것입니다.
당시의 사람들은 모두 서서 기도했습니다. 서 있어야 그만큼 하느님께 가까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세리는 팔을 펴서 하늘을 향하거나 두 눈을 우러러보지 못했습니다. 스스로 죄인임을 알고 있기에 감히 하늘을 향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이 세리에 앞서 등장하는 바리사이의 기도 모습과는 정반대입니다. 여기서 하느님의 선택은 누구였을까요? 예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바리사이가 아니라 이 세리가 의롭게 되어 집으로 돌아갔다.”(루카 18,14)
오늘 제1독서의 호세아 예언자도 “내가 바라는 것은 희생 제물이 아니라 신의다.”(호세 6,6)라고 말씀하십니다. 하느님께서는 자기를 내세우는 열심보다는 자기를 낮추는 진정한 회개를 원하십니다. 그런데 우리는 바리사이의 모습을 간직할 때가 참으로 많습니다.
자기만 옳은 줄 믿고 남을 업신여기는 사람, 자기 생활 기준으로 남을 판단하고 자기 생활 기준에 맞지 않는다며 단죄를 하는 사람, 세상일을 잘해서 자기는 옳다고 생각하는 사람. 모두 바리사이의 모습입니다.
나의 모습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주님께서 좋아하실 모습을 갖춰야 합니다.
오늘의 명언: 사람의 얼굴은 하나의 풍경이며 한 권의 책이다. 얼굴은 결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오노레 드 발자크).
빠다킹 신부